노인 간호 분야의 세 가지 타이틀

1. 치매환자의 영양상태 및 치료방법 평가

 

2. 요실금 및 치료 접근법

 

3. 압박 궤양



 
 

I. 치매환자의 영양상태 및 치료방법 평가

 

1. 노인의 영양실조와 그 원인

 

2010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노인(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8%를 차지합니다. 선진국에서는 그 비율이 더 높지만, 저개발국에서는 그 비율이 매우 낮습니다(16% 대 3%)(2010년 세계 인구 데이터 시트). 우리나라는 의료시설이 발달한 덕분에 노인인구가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1985년 노인 인구는 전체 사회의 4.2%(220만 명)에 달했지만 오늘날 이 비율은 약 7.2%(530만 명)입니다(T.R. Başkabanlık 터키 통계 연구소 뉴스 게시판, 2011년 1월 28일). 노인에게서 나타나는 노인 증후군의 상당 부분은 신경 질환, 대사 장애 및 악성 종양으로 구성됩니다. 노년기에 자주 발생하는 또 다른 노인 증후군은 영양실조입니다. 영양실조는 하나 이상의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신체에 발생하는 병리학적 변화입니다. 다량 영양소(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및/또는 미량 영양소(미량 원소 및 비타민) 섭취가 부족하면 신체에 일부 신체적, 대사적 변화가 발생합니다. 유럽 ​​임상 영양 및 대사 학회(ESPEN)와 영국 비경구 및 장내 영양 협회(BAPEN)에 따르면 영양실조는 신체(신체 크기 및 구성)와 신체 기능에 눈에 띄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영양실조로 정의됩니다. 이는 에너지, 단백질 및 기타 영양소의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섭취의 결과이며, 이를 생존을 감소시키는 병리학적 상태로 설명했습니다(Lochs et al., 2006). 미국 비경구 및 장내 영양 협회(ASPEN)와 ESPEN이 결성한 국제 합의 지침 위원회가 2010년에 발표한 선언에서 영양실조는 더 많은 원인을 강조하기 위해 재정의되었습니다. 따라서 영양실조는 두 개의 별도 제목으로 구분됩니다. 만들어진; “배고픔으로 인한 영양실조” 및 “만성질환과 관련된 영양실조”(Jensen et al., 2010). 심각한 염증 반응이 발생하는 중대한 질병에서는 이화 속도가 증가하며, 이 경우 이는 주로 사이토카인 수준(종양 괴사 인자, TNF)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에 근거하여 악액질은 이화작용의 증가로 인해 지난 6개월 동안 비자발적으로 체중이 6% 이상 감소하고 이러한 상황이 음식 섭취를 방해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Lochs et al., 2006).

 < /p >

노인의 37~40%는 일일 에너지 필요량을 충족할 만큼 충분히 먹지 못하고, 노인 3명 중 2명은 식사를 거르며, 이러한 상황은 최근 몇 년간 "노화성 식욕부진"으로 묘사되었습니다(Morley). , 1997). 영양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 급성 및 만성 질환, 치아 및 구강 건강 문제, 다제 복용, 경제적인 문제, 혼자서 장을 볼 수 없는 상황, 준비할 수 없는 상황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식사는 중요한 자리를 갖는다. 어떤 이유로든 노년기에 체중 감소가 시작된 후 1~2.5년 동안 사망률은 이러한 이유만으로 9~38% 증가합니다(Marton, 1981). 경구 음식 섭취량이 감소하는 것 외에도 나이가 들수록 일일 성장 호르몬 분비가 29-70% 감소하여 근육감소증으로 이어진다(Corpas, 1993).

 

이스탄불 의과대학 , 내과, 노인의학과 BD 폴리클리닉에서 추적관찰 중인 노인환자의 영양상태를 미니영양평가검사(Mini Nutritional Assessment Test)로 조사한 연구에서 영양실조 비율은 13%, 추가 영양실조 위험률은 13%로 나타났다. 31%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양실조가 있는 사람들에게서 우울증, 대실금, 인지 기능 상실, 신체 중독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Saka et al., 2010). 2009년과 2010년에 이스탄불 주 경계 내에 위치한 대규모 요양원의 노인들을 선별하여 실시한 두 가지 단면 연구에서 2009년 영양실조 비율은 9.8%로 나타났으며, 영양실조 위험률은 22.8%가 추가됩니다. 영양실조가 있는 노인에게서 다른 노인증후군의 발생률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0년 주민 3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진에서 영양실조 비율은 13.5%였으며, 영양실조 위험은 33.5%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0년 이스탄불 의과대학 내과 노인병 클리닉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영양실조 비율은 입원 당시에는 45.5%로 나타났다. 입원기간(18.9±19.1일 vs 11.3±11.3일, p<0.0001)과 병원감염 발생률(45% vs. 7%, p<0.001, OR: 3.298)이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영양실조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Hacettepe 대학교 내과 노인병학과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외래 진료소에서 추적 조사한 노인의 영양실조 위험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8%. 영양실조 위험은 우울증 위험, 적혈구 용적율, 공복 혈당, 알부민, 적혈구 침강 속도, 일상생활의 도구적 활동 및 골밀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Ülger, 2010).

 

전 세계적으로 이 주제에 관한 문헌의 데이터도 유사합니다. Kaiser MJ 등이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영양실조 비율은 5.8%, 요양원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 13.8%, 입원한 노인의 경우 38.7%로 나타났다. 영양실조와 치매, 근육감소증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관찰되었습니다(Kaiser et al., 2010). ESPEN이 매년 수행하는 입원 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첫 번째 연구(NutritionDay)는 2006년에 수행되었으며 총 810개 센터에서 총 74,000명의 환자를 검사했습니다. 노인연령대 데이터에 따르면, 노인의 50~70%가 입원 기간 동안 영양실조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이 상태는 식욕 부진, 위장관계 질환, 만성 질환 및 이화 반응 증가와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Hiesmayr et al., 2009).

 

발생률은 노화와 질병에 따라 증가합니다. 영양실조와 관련된 질병으로는 암, 우울증 및 이로 인한 사회적 고립, 치매, 뇌졸중, 인지 장애를 초래하는 기타 신경 장애, 위장 및 내분비계 장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질병 중에 근육량 손실(근육감소증), 골다공증, 신체적 의존성 및 자기 관리 결핍이 발생하며, 이는 간접적으로 영양 상태를 더욱 악화시킵니다(Morley, 1997; Saka et al., 2010; Claggett, 1989; Thompson and Morris, 1991년, 카브르 era et al., 2007; Wilson, 1998).

 

노인의 식욕 부진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사회적 고립, 치매 및 우울증, 만성 질환 및 약물 치료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요인은 모두 진행성 인지 장애가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반면에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삼키는 데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이는 영양실조 발병을 촉진합니다(Hays and Roberts, 2006). 일상 활동과 도구적 일상 활동이 감소함에 따라 환자는 더 의존적이 되고, 우울증이 발생하며, 경구 섭취되는 음식의 양이 감소합니다(Claggett, 1989; Cabrera et al., 2007).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노인병원에 입원한 환자 2,327명을 대상으로 한 Ülger 등의 연구에서 치매가 없는 환자의 경우 영양실조 위험이 2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매가 있는 환자에서는 이 비율이 37.3%로 보고되었습니다. 치매(p < 0.001)(Ülger et al., 2010)

 

초기 치매의 경우 영양실조의 원인은 대부분 동반질환(만성질환, 구강질환)에 의한 것입니다. 및 치아 건강 장애 및 우울증), 치매 중기에서는 식사를 거르고 음식에 접근할 수 없으며(중독 증가), 드물게 삼킴 문제가 악화되기 시작합니다. 진행성 치매의 경우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삼킴 장애입니다. 게다가 말기 단계에서는 먹는 것조차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입에 음식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고 씹지도 않고, 입에 넣어두거나 꺼낸다.

 

ESPEN의 추천에서 2002년에 발표된 유럽임상영양대사학회(European Society of Clinical Nutrition and Metabolism)에서는 65세 이상의 모든 개인이 영양에 대해 인식해야 하며 정기적인 검사가 권장됩니다. 유사한 권장 사항이 다음 해에 발표된 모든 ESPEN 지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Volkert et al., 2006). 2007년 유럽의회가 채택한 결정의 틀 내에서 비만과 영양실조는 가장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받아들여졌고, 이 문제는 2008년 유럽연합의 공식 정치적 의제에 포함되었습니다. ESPEN은 2009년을 영양실조와의 전쟁의 해로 선포했습니다.

 

 

 

2.영양의 기본 개념

2.1.에너지 균형

 

휴식 중인 신체에서 화학적 활동을 위해 사람이 소비하는 에너지입니다.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기초대사량(휴식에너지 소비량, BET)이라고 합니다. 키, 몸무게, 성별,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연령에 따른 기초대사량 감소는 근육량이 감소하고 대사율이 느린 지방조직으로 근육량이 대체되기 때문이다. IET는 감염과 염증으로 인해 과도한 사이토카인 반응이 있는 경우 대사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하루 동안 개인이 소비하는 총 에너지(TET)는 IET와 활동 관련 에너지 소비(AET)의 합과 같습니다. 침대에 누워 있는 활동적인 사람의 활동 계수는 15~20%인 반면, 보행 가능한 사람의 경우 20~25%, 활동적인 사람의 경우 30~40%입니다.

 

매일 TET는 경구 섭취하는 음식을 통해 해당 칼로리를 섭취해야 합니다. 일일 에너지 필요량 외에도 세포 내 대사 기능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의 섭취도 중요합니다. 음식 섭취가 부족하면 체중 감소(영양실조)가 발생하고, TET보다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면 과도한 체중 증가(비만)가 발생합니다. 영양실조와 비만은 공존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필요한 양보다 적은 영양소를 섭취하면 영양실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노인의 '비만 영양실조'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전에 비만이었으며 급성질환을 앓았던 노인의 경우, 음식물 섭취가 감소함에 따라 이화작용으로 인해 급속한 근육붕괴가 일어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근육감소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상태를 근육감소성 비만이라고 합니다(Li and Heber, 2012). 장기간 입원한 환자에게서 욕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비만은 이러한 점에서 위험 요소입니다.

 

음식은 신체 기능 유지뿐만 아니라 조직의 구성과 복구에도 사용됩니다. 완전한 식단은 일일 에너지 필요량을 충족하기에 충분한 탄수화물과 지방뿐만 아니라 조직과 신진대사에 필요한 단백질, 비타민, 미량 원소 및 수분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2.2.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식품에서 세 가지 형태로 발견됩니다. 전분, 설탕, 셀룰로오스(섬유질). 인간의 주요 에너지원(칼로리)은 전분과 설탕입니다. 셀룰로오스는 위장관(GI)에서 흡수되지 않습니다. 이는 GIS 콘텐츠에 볼륨을 추가하고 적절한 통로를 제공합니다. 조직

읽기: 0

yod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