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아이에게 알리기

아동과 가장 가까운 사람이 사망 소식을 알려야 합니다. 죽음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설명하는 일을 전문가에게 맡겨서는 안 됩니다. 자녀가 부모 중 한 사람을 잃었을 경우, 다른 쪽 부모가 이 진술을 하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아이가 소식을 전하면서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아이는 “슬픈 소식을 전해드리겠다”며 상황에 대비하고, 설명을 해준다. 아이에게 갑자기 죽음에 대해 말해서는 안됩니다. 그가 겪게 될 충격으로 인해 애도 과정이 얼어붙을 수도 있습니다. 사망 사건은 그 원인과 함께 점진적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손실 공개를 지연해서는 안됩니다.

사별 후 해야 할 일

사별 소식을 들은 후, 장례 절차에 대해 아이에게 설명해야 합니다. 절차를 설명한 후 장례식에 참석하고 싶은지, 참배할 준비가 되었는지 물어보아야 하며, 원하지 않을 경우 강요해서는 안 된다.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은 아이에게 상징적인 이별이다. 장례식에 참석한 친척들과 함께 강렬한 감정을 경험할 기회를 갖는 것도 외로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장례식에 참석하고, 죽음에 분노를 표현하는 고인의 사진을 보고, 무덤을 방문하는 아동은 장래에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다른 아동에 비해 적다(Koç, 2003). 장례식에 참여함으로써 아이는 추상적인 개념인 죽음을 마음속에 구체화시키기가 더 쉬워진다. 장례식에 참여하면 아이와 죽음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7세 이후에는 장례식에 참석하여 인생의 현실 중 하나인 죽음에 대해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식 도중 아이를 자신의 집이나 묘지에서 '납치'하고 어른들의 과장된 놀이나 오락을 하도록 부추기는 행위는 아이에게 부모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을 갖게 하고 슬픔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러, 2017). 정기적인 무덤 방문은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상실 후에는 아이가 학교, 집, 사회적 환경에서 일상생활로 빨리 복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죽음은 아이에게 이미 큰 변화이지만, 살고 있는 집을 바꾸거나 학교를 오랫동안 쉬는 등 다른 변화로 인해 혼란이 가중됩니다. 이 디 어른들과 아이들이 장기간 떨어져 있으면 불안이 커집니다. 상실이 아동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누가 자신의 필요와 보살핌을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아동은 상실 이후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상실을 받아들이며 애도 과정을 더 건강한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2013).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고 질문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끊임없는 질문에는 비판 없이 참을성 있게 대답해야 합니다. 사건은 매번 변경 없이 전달되어야 합니다. 그가 말하고 싶지 않다면 강요해서는 안됩니다. 집에서 죽음을 미스터리하게 만들고, 그것에 대해 전혀 이야기하지 않고, 그러한 상실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아이에게 죽음을 더욱 궁금하게 만듭니다. 아이들이 죽음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강하고 전혀 고통받지 않는 척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죽음에 대해 전혀 이야기하지 않으면 정서적 치유가 방해되고 아이에게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읽기: 0

yod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