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면서 세상을 만나는 아기가 현실을 접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실과 동떨어진 자신의 내면의 사물을 통해 세상을 해석하는 아기는 엄마와의 관계를 통해 건강하게 현실로 다가온다. 이 과정에서 아기는 외부 세계의 사물과 관계를 맺기 시작하고 이러한 사물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게 됩니다. 본 연구는 아기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관계 역학이 성인기의 낭만적 사랑 관계와 파트너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특히 개성화의 길에 있는 아기의 첫 3년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대상관계와 어린 시절의 경험이 성인관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사랑은 사랑이 주체가 되는 주체이다. 존재에 대한 의문만큼이나 의문이 든다. 그래서인지 다양한 시, 노래, 소설, 연극 등 여러 곳에서 각색되었습니다. 인생의 대부분을 생각하고 때로는 슬픔을 느끼며 보내며, 수많은 질문에 직면하는 사랑의 개념은 문학 작가뿐만 아니라 심리학자들의 중요한 선입견이었습니다. 정신분석학의 맥락에서 사랑에 대해 가장 먼저 말할 수 있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프로이트가 말한 첫사랑은 엄마와 아기 사이에서 경험된다는 것이다. 분석적인 관점에서 보면, 모든 사랑은 최초의 사랑 형태의 반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학자들의 엄마와 아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비롯된 이러한 추론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아기의 첫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기가 처음 엄마에 들어오면 세상의 리비도는 자신을 향하고 있으므로 모든 사랑은 자신을 향한 것입니다. 건강한 발달을 통해 그는 이 리비도를 사물로 향하게 하고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식으로 아기는 "사랑의 대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아기의 첫사랑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아기가 자신의 리비도를 담는 대상, 대상과의 관계, 이 과정에서 아기가 경험하는 것에 대한 중요한 사항을 먼저 언급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입니다.
'물체'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무게'이며, '부피와 색깔을 지닌 모든 무생물'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철학적 용어로 보면 우리의 의식 앞에 서서 외부 세계를 무시하는 단어를 보게 된다. 그것은 n의 일부인 모든 것으로 나타납니다. 정신분석학에서 프로이트(1905)는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객체'라는 용어에 보다 철학적인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프로이트는 '대상'이란 아기가 본능적인 에너지로 인지하는 외부 세계의 일부인 모든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아기가 본능적으로 만족을 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1914년에 작성된 그의 기사 "나르시시즘에 대하여"에서 프로이트는 두 가지 유형의 대상 선택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무질서한 대상 선택과 자기애적 대상 선택. Anaclitic 개체 선택은 유아기에 개인을 돌보고,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어머니 형상과 겹치는 개체 선택을 나타냅니다. 자기애적 대상 선택에는 개인의 자아와 관련된 상황이 있습니다. 여기서 사람은 자신을 대표하는 물건, 한때 그랬던 물건, 되고 싶은 물건, 자신의 일부이고 자신과 가까운 물건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쾌락 추구가 충동의 기초에 있다고 주장한 프로이트에 따르면, 충동을 충족시키는 외부 세계의 실체는 모두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 대상과 충동 사이의 결합은 개인의 반복적인 순환 경험을 통해서만 의미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프로이트, 1905). 이 시점에서 클라인은 프로이트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Klein에 따르면,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즉 태어날 때부터 본능적 만족을 제공하는 대상과 관계에 대한 탐색이 존재하며, 심지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도 생후 첫 해에 경험하게 된다고 합니다(Klein, 1957).
개인의 내면세계는 내면화된 대상관계로 가득 차 있습니다. 클라인은 내사된 대상과 이를 담고 있는 내적 대상을 서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내사를 자신이 '좋은' 사람이 되는 것에 대한 개인의 불안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받아들인다. Klein(1957)은 인간이 죽음본능을 갖고 태어난다고 주장하면서, 이 본능으로 인해 '공격적이고 사악하고 박해적인 대상'으로 가득 찬 내면세계를 갖고 있는 아기는 자신 안에 있는 이러한 '나쁜' 존재를 용납할 수 없기 때문에 그는 '나쁜 것'을 외부 세계의 대상에 투사하여 '죽음 본능'으로 전환시키며, '나쁜 것'을 선언하면서도 '좋은' 대상을 외부에 반사시켜 자신과 내면의 좋은 대상을 선으로 보호하려 했다고 주장한다. . 자궁 속의 아기는 엄마와 하나가 되어 안전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아기는 태어날 때 첫 이별을 경험하며, 사실 첫 애도를 경험합니다. 그는 남은 생애 동안 이 안전한 결합 속에서 살게 될 것입니다. 그는 통일성을 다시 확립하려고 노력합니다. 이러한 대상관계를 탐색하는 아기의 첫 번째 대상은 엄마의 젖가슴이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확립한 대상관계를 통해 외부세계 전체를 지각하고 이해하려는 아기의 욕구(영양과 사랑)를 충족시켜주는 젖가슴은 좋은 대상이 된다. 엄마가 자궁 속에 품고 있던 아기는 이제 엄마의 젖을 내면화하여 젖과 젖을 통해 엄마를 모두 흡수함으로써 엄마를 품게 된다(Klein, 1957). 아기에게 젖가슴은 자신이 창조한 대상이다. 아기가 필요할 때 나타나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때문이다. 그분께서 가슴을 창조하셨고 그것은 그분의 것이며 그분의 통제하에 있습니다. 이 환상은 그에게 전능함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대상관계 덕분에 아기는 자궁 속에서 안전한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elanie Klein은 자신의 저서 Envy and Gratitude(1957)에서 아기에게 시기심이 나타나는 것과 관련하여 유방의 영양가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아기에게 젖의 샘이라 할 수 있는 유방이 원하는 만큼의 만족을 주지 못할 때, 아기는 자신이 겪는 결핍을 유방 탓으로 돌리고 부정적인 감정을 유방에 투사하여 유방을 나쁜 유방으로 변화시킵니다. 물체. 따라서 그는 시기심과 증오심을 경험합니다. 같은 책에서 클라인은 만족스러운 가슴에 대해 느낄 수 있는 부러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아기에게 만족감을 주더라도 넉넉하게 흘러나오는 우유는 부러움을 불러일으킵니다. 아기에게는 그런 큰 선물이 결코 닿을 수 없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아기는 첫 번째 대상인 엄마의 젖과의 관계에 혼란을 겪는다. 자신에게 자비를 베풀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슴을 좋은 대상으로 주입하는 아기는 만족하면서도 자신의 부러움을 가슴으로 향하게 하여 젖가슴과 엄마 모두를 악화시킨다. 이 첫 번째 대상 관계는 아기가 평생 동안 확립하게 될 모든 관계의 개요를 형성하며, 이 충격을 통해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을 구별하며, 이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좋은 대상과 함께 보관되면 나쁜 대상에 기인한 공격적인 정서가 좋은 대상을 파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좋은'과 '나쁜'의 구분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부터 아기는 대상뿐만 아니라 자신도 '좋은 나'라고 정의하게 된다. '나쁜 자아'로 나누어집니다. 클라인이 "편집증-분열성 위치"라고 부르는 과정은 처음 3개월에 걸쳐 이루어지며, 이 기간에는 아직 초자아의 형성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이 기간에 경험한 "초기 자아"와 편집증적 불안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아기가 사용하는 방어 메커니즘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분할 및 투영 식별. 이러한 방어 메커니즘의 목적은 죽음 본능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아기는 자신과 내면의 좋은 대상을 죽음본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공격성과 증오심을 외부 대상에 투사하여 편집적 불안을 유발한다(Klein, 1946). 그는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의 기간을 "우울증 상태"라고 부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기가 이전에 나누었던 물건들이 하나로 합쳐집니다. 즉, 사랑스럽고 좋은 대상인 가슴과 부러워하는 나쁜 대상인 가슴이 하나라는 것입니다. 이 단계의 우울적 입장의 기초는 대상에 대한 양가감정이 있기 때문에 죄책감입니다.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이 동일하다는 사실은 나쁜 대상에 반영된 공격적인 감정이 좋은 대상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불안과 죄책감을 낳는다(Klein, 1948).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외에도 아기의 내부 과정을 해석하여 자신의 이론을 정립한 Winnicott은 아기에 대해서도 연구했으며, 어머니 사이의 관계 영역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이론에서 Winnicott은 충족되어야 할 본능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발달적 욕구와 엄마가 본능을 만났을 때 형성되는 관계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Tükel, 2011). 아기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고, 그것을 충족시켜야 하는 사람은 어머니입니다. Winnicott은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아기가 환경에서 필요한 것을 얻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아기는 파괴와 멸종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Habip, 2011). 아기가 환경으로부터 필요한 것을 얻는다는 것은 실제로 아기가 엄마로부터 필요한 것을 얻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곳의 환경은 아기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아기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어머니입니다. Winnicott(1953)은 이 어머니를 “충분히 좋은 어머니”라고 부릅니다. 아기가 자신에 대해 처음으로 시작하는 것은 엄마의 얼굴을 거울로 삼아 엄마의 시선 속에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질문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Winnicott, 1967). 엄마의 얼굴을 보면서 아기는 그곳에서 본 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존재와 자아를 이해하게 됩니다. 아기가 이러한 반사 속에서 자신을 볼 수 없거나 반사에 결함이 있다는 사실은 개성화 과정과 아기 자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골수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엄마는 아기가 영혼과 신체의 통합, 즉 개성화가 일어날 만큼 충분히 건강해야 합니다(Habip, 2011). 엄마의 건강이 좋지 않고 아기의 욕구가 적절히 충족되지 않으면 아기의 자아 형성이 위험에 빠지고 '진짜 자아'와 '거짓 자아'로의 분열이 발생합니다. 아기가 엄마로부터 필요한 반응을 받을 때 진짜 자아가 형성되지만, 아기가 자신의 욕구에 대해 양립할 수 없는 반응을 받으면 아기는 진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거짓 자아를 전면에 내세웁니다. 이렇게 발달하는 거짓 자아는 진짜 자아를 고립시키고 방어하게 되지만, 이로 인해 공허함, 허무함,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발달하게 된다(Tükel, 2011).
아기의 진짜 자아는 아기의 첫 번째 감각이다. 그는 자신이 창조적인 존재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키며, 그가 들어와서 전능함을 느낄 때 살아간다. 거짓 자아는 진짜 자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한 방패로서 진짜 자아를 숨기고 보호합니다. 그러나 건강한 자기계발을 위해서는 전능하다는 환상을 점차 버려야 합니다. 이는 어머니와 과도기적 대상의 도움으로 가능합니다(Winnicott, 1953). 전환 대상의 의미는 주체에 의해 주어지며, 어머니는 아기에게 이러한 전환 대상을 전능하다는 환상과 현실 사이의 다리로 사용할 정신적 기회를 제공합니다. 과도기적 대상은 아기가 처음에 "내가 아니다"라고 인식하는 행동, 소리 또는 대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 빨기, 어머니가 자장가를 부르는 것, 젖꼭지, 곰 인형 등이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엄마는 과도기적 대상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필요한 정신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자기 형성의 기초를 다진다.
이러한 모든 대상 관계와 아기가 경험하는 경험에 대한 세부 사항과 병행하여 , 우리는 프로이트와 함께 "사랑" 경험의 뿌리를 계속 조사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입니다. 사랑에 관한 최초의 분석 이론은 프로이트에 의해 창안되었으며, 가장 단순한 형태로 이론의 기초는 여자는 아버지를 사랑하고 남자는 어머니를 사랑한다는 생각이다(Freud, 1905). 이론의 틀은 아동의 정신성적 발달에 의해 형성됩니다. 아동의 정신성적 발달의 각 단계는 서로 다른 성감대와 리비도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대상을 나타냅니다.
읽기: 0